인사이트
News letter
[창의회계법인] 스타트업 CEO가 놓친 10억원 투자수익, 투자자산 관리의 중요성
- 작성자: 관리자
- 작성일: 2025.06.24
- 조회수: 105
안녕하세요, 스타트업과 AI 기업을 운영하시는 CEO, CFO 여러분께 꼭 공유드리고 싶은 실제 사례가 있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최근 금융감독원 감리 과정에서 발견된 한 스타트업의 이야기인데요, 정말 드라마틱한 내용이라 많은 경영진분들께 도움이 될 것 같아 정리해 보았습니다.
10년 전 투자한 미국 스타트업, 휴지조각에서 로또가 되다
A 스타트업은 2009년 미국의 혁신 기업에 2% 지분을 투자했습니다. 처음에는 큰 기대를 했지만, 금융위기와 함께 해당 기업의 실적이 급격히 악화되면서 투자금 전액을 손상차손으로 처리하게 되었습니다. 장부에서는 완전히 가치가 '0원'이 된 이 투자는 자연스럽게 관리 대상에서 제외되었고, 10년간 잊혀진 채로 방치되었습니다. 특히 해외 투자다 보니 더욱 관리가 소홀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놀라운 일이 벌어졌습니다. 2016년 그 미국 기업이 나스닥에 상장되면서 주가가 급등한 것입니다. 하지만 A 회사는 이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었죠. 2022년 금융감독원 감리를 받던 중, 감리관이 과거 투자 내역을 검토하다가 이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회사는 부랴부랴 투자 확인서를 찾아보니, 정말로 해당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IFRS 기준상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이 투자는 정기적으로 공정가치 평가를 해야 하는데, 회사가 이를 전혀 하지 않아 금융자산과 자기자본이 과소계상된 것으로 지적받았습니다.
이에 아래와 같은 내용이 중요합니다.
첫째, 투자 후 관리 시스템을 반드시 구축하시기 바랍니다. 아무리 가치가 떨어진 투자라도 완전히 방치해서는 안 됩니다.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가치평가가 필요합니다.
둘째, 해외 투자의 경우 더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거리상 멀고 정보 접근이 어렵다고 해서 소홀히 해서는 안 되며, 현지 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시기 바랍니다.
셋째, 회계 기준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특히 IFRS 하에서 금융자산의 분류와 평가 방법을 정확히 알고 계시기 바라며, 필요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기를 권합니다.
CEO 여러분께서는 다음 사항들을 꼭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전체 투자 포트폴리오에 대한 정기적 현황 보고 체계가 있는가?
해외 투자기업의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는가?
투자 관련 의사결정을 위한 전문가 자문 체계가 구축되어 있는가?
모든 투자자산이 적절한 회계 기준에 따라 분류되어 있는가?
공정가치 평가가 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내부통제 시스템이 투자자산 관리를 포함하고 있는가?
특히 AI 분야 스타트업의 경우, 기술의 발전 속도가 매우 빠르고 시장 상황이 급변할 수 있어 투자 가치의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더욱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기술 트렌드와 시장 동향을 지속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사례는 정말 드문 해피엔딩이었지만, 대부분의 경우 관리 소홀로 인한 손실이 더 클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일수록 자원이 한정되어 있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체계적인 투자자산 관리가 더욱 중요합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투자가 제대로 관리되고 있는지 오늘 한 번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혹시 잊고 있던 숨은 보물이 있을지도 모르니까요. 투자와 회계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 전문가와 상담받으시기를 권해드리며, 모든 스타트업의 성공적인 성장을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