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News letter

[창의회계법인] 제미나이 챗GPT 를 활용한 IPO 스타트업 매출조작 AI 검증법

  • 작성자: 관리자
  • 작성일: 2025.06.05
  • 조회수: 354

ChatGPT와 Google Gemini로 IPO 스타트업 분식회계 탐지하기


IPO 준비 기업들의 회계조작이 점점 치밀해지는 추세입니다. 그런데 이제 ChatGPT와 Google Gemini 등 인공지능 툴이 이러한 정교한 매출 위조를 성공적으로 발견하고 있다는 점을 아시나요?


AI가 발견한 실제 IPO 분식회계 사례

근래 일어난 실제 상장 분식 건을 ChatGPT로 검토해본 결과 흥미로운 발견이 있었습니다. 기존 감사 기법으로는 찾기 힘들었던 체계적 매출 가공 신호를 AI가 확실히 잡아냈기 때문입니다.

이 회사는 상장 달성을 목적으로 CEO 지휘 아래 모든 팀이 함께 가짜 매출을 창조해냈습니다. 영업부에서 허위 계약을 제작하고, 회계부에서는 상황을 인지하면서도 계산서를 만들었으며, 나아가 파트너 기업까지 활용해 외부 검사를 기만했습니다.


ChatGPT 활용한 허위매출 분석 방법

이런 구조적 조작을 ChatGPT는 어떤 방식으로 검증할 수 있었을까요? 실제 분석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


ChatGPT 재무분석 질문 사례

1단계: 손익계산서와 현금흐름표 비교분석
"손익서에 영업수익이 100억원인데 현금표의 영업활동 흐름이 -20억원인 원인을 진단해줘"

2단계: AI 진단 결과 확인
ChatGPT는 바로 수익은 존재하나 실제 회수가 없는 가상 거래 위험을 제기했습니다.

3단계: 매출채권 증가율 이상징후 분석
4단계: 동종업계 벤치마크 비교검토
5단계: 종합적 분식회계 리스크 평가
6단계: 추가 검증 절차 권고사항 도출


Google Gemini에게는 "이 업체의 미수금 상승률이 작년 대비 300% 증가했는데 같은 업종 평균은 20% 상승했습니다. 배경을 검토해주세요"라고 문의했습니다.


Google Gemini의 정밀한 데이터 분석

Gemini는 이상한 미수금 증가가 허위 수익의 대표적 신호라고 정확히 분석했습니다. 통계적 접근을 통한 업계 평균 대비 이상치 탐지에서 특히 뛰어난 성능을 보였습니다.

AI 도구들은 인간 감사인이 놓치기 쉬운 수치 간 불일치와 패턴 이상을 객관적으로 식별해냅니다. 이는 기존 회계감사 방식을 혁신적으로 보완하는 새로운 접근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AI 활용 분식회계 탐지의 미래

따라서 AI를 이용한 검토 절차를 다음 YouTube에 정리해보았습니다. (*아래 소리 음소거 해제하시면 소리가 나옵니다.)